Connection Pool과 @Transactional: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핵심 개념
·
IT 기술/Spring boot
Connection Pool과 @Transactional: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핵심 개념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Connection Pool과 @Transactional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개념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리고 실제 개발에서 어떻게 활용하면 좋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Connection Pool이란?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는 과정은 생각보다 비용이 많이 듭니다. 새로운 연결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통신이 발생하고, 인증 및 세션 설정도 필요하기 때문이죠. 이를 해결하기 위해 Connection Pool을 사용합니다.✅ Connection Pool의 동작 방식초기화: 애플리케..
/gradlew bootRun은 어떻게 동작하는가?
·
IT 기술/Spring boot
/gradlew bootRun은 어떻게 동작하는가?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흔히 사용하는 명령어가 있습니다../gradlew bootRunGradle을 사용한 Spring Boot 프로젝트라면 익숙한 명령어지만, 정확히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고 있나요?이번 글에서는 ./gradlew bootRun이 내부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알아보겠습니다.1. ./gradlew란?먼저, ./gradlew는 Gradle Wrapper의 실행 파일입니다. Gradle Wrapper를 사용하면 프로젝트마다 독립적인 Gradle 버전을 관리할 수 있으며, Gradle이 설치되지 않은 환경에서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gradle vs gradlew 차이점gradle : 시스템에 설치된..
git pull vs git fetch: 차이점과 활용법
·
IT 기술
git pull vs git fetch: 차이점과 활용법Git을 사용할 때 git pull과 git fetch는 자주 쓰이지만, 이를 처음 접하는 개발자들은 두 명령어의 차이를 자주 혼동합니다.이 글에서는 두 명령어의 개념과 차이점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적절한 사용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1. git fetch란?git fetch는 원격 저장소의 변경 사항을 가져오지만, 이를 즉시 로컬 브랜치에 병합하지 않습니다. 즉, 최신 변경 사항을 확인하고 싶지만, 직접 병합할지 여부를 결정하려는 경우에 유용합니다.git pull에 비해 안정적인 방식으로 원격 저장소의 변경 사항을 가져옵니다.사용법git fetch origin위 명령어는 origin(기본 원격 저장소)에서 최신 변경 사항을 가져오지만, 현재 작업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