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기술 / / 2025. 2. 22. 13:41

git pull vs git fetch: 차이점과 활용법

git pull vs git fetch: 차이점과 활용법

Git을 사용할 때 git pullgit fetch는 자주 쓰이지만, 이를 처음 접하는 개발자들은 두 명령어의 차이를 자주 혼동합니다.

이 글에서는 두 명령어의 개념과 차이점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적절한 사용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git fetch란?

git fetch는 원격 저장소의 변경 사항을 가져오지만, 이를 즉시 로컬 브랜치에 병합하지 않습니다. 즉, 최신 변경 사항을 확인하고 싶지만, 직접 병합할지 여부를 결정하려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git pull에 비해 안정적인 방식으로 원격 저장소의 변경 사항을 가져옵니다.

사용법

git fetch origin

위 명령어는 origin(기본 원격 저장소)에서 최신 변경 사항을 가져오지만,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주요 특징

  • 원격 저장소의 최신 상태를 로컬로 동기화
  • 현재 브랜치를 변경하지 않음
  • 변경 사항을 직접 확인한 후 수동으로 병합 가능

2. git pull이란?

git pullgit fetchgit merge를 한 번에 수행하는 명령어입니다. 즉, 원격 저장소의 변경 사항을 가져온 뒤 자동으로 현재 브랜치와 병합합니다.

git fetch보다 빠르게 최신 변경 사항을 반영할 수 있지만, 자동 병합이 이루어지므로 예상치 못한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사용법

git pull origin main

이 명령어는 origin 저장소의 main 브랜치에서 변경 사항을 가져오고, 현재 체크아웃한 브랜치에 병합합니다.

주요 특징

3. git fetch vs git pull 차이 비교

기능 git fetch git pull
변경 사항 가져오기 ✅ 있음 ✅ 있음
자동 병합 ❌ 하지 않음 ✅ 병합 시도함

4. 언제 git fetchgit pull을 사용해야 할까?

  • git fetch 사용 시기:
    • 원격 저장소의 변경 사항을 확인하고 싶을 때
    • 자동 병합 없이 수동으로 코드 리뷰 후 병합하고 싶을 때
  • git pull 사용 시기:
    • 빠르게 최신 변경 사항을 반영해야 할 때
    • 협업 프로젝트에서 빈번한 업데이트가 필요할 때

5. 활용

git fetch 후 변경 사항 확인

git fetch origin

이후 원격 브랜치와의 차이를 비교:

git diff origin/main

변경된 커밋 로그만 간략히 확인하려면:

git log --oneline main..origin/main

git pull로 최신 변경 사항 반영

git pull origin main

이 명령어는 최신 변경 사항을 가져오고 병합까지 수행합니다. 만약 충돌 없이 깔끔한 히스토리를 유지하고 싶다면 --rebase 옵션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git pull --rebase origin main
# (git fetch + git rebase origin/main)과 동일

결론

git pullgit fetch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병합 여부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실무에서는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git fetch로 먼저 변경 사항을 확인한 후, 필요에 따라 git mergegit pull --rebase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프로젝트의 특성과 상황에 맞게 적절한 명령어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Reference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